삼성고시의 '온라인 실험' 합격점

사전 점검으로 서버 오류나 접속 불량 등 기술적 문제 예방 부정행위 논란 아직 없어… 지원자"수리영역 난이도 높아"

2020-05-31     이코노텔링 장재열기자

삼성이 5월 30~31일 이틀간 진행한 첫 온라인 그룹 공채시험이 서버 오류나 부정행위 등 별 문제없이 마무리됐다.

삼성은 이번 첫 온라인 공채시험 경험을 바탕으로 하반기 공채를 비롯한 향후 채용 분야에서 ‘비대면(untact) 방식’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이미 면접을 화상으로 진행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대기업 공채에 있어 온라인 시험이 '뉴노멀'(새로운 기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삼성은 '삼성고시'로 불리는 삼성직무적성검사(GSAT)를 올해 처음으로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직접적 계기였지만, 수만 명 응시자를 수용하는 대규모 고사장을 빌려 현장시험을 치르는 비용을 줄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채용 모델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있는 시도로 평가된다.

삼성

삼성 온라인 GSAT는 이틀간 오전 9시와 오후 2시 하루 두 차례씩 총 4회로 나눠 진행됐다. 동시접속에 따른 서버 과부하를 막고 부정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관리·감독 기능을 높이기 위한 조처였다.

삼성은 온라인 시험 응시자들에게 개인정보 보호용 신분증 가리개와 스마트폰 거치대, 영역별 문제 메모지 등 시험에 필요한 도구들을 담은 꾸러미(키트)를 제공했다. 응시자들은 지원 회사의 시험날짜에 맞춰 응시 프로그램에 접속해 시험을 치렀다.

삼성은 공채 응시인원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업계는 회차당 수천 명에서 1만명이 넘는 응시자들이 동시 접속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삼성의 철저한 사전 점검으로 서버 오류나 접속 불량 등 기술적 문제는 불거지지 않았다.

삼성은 온라인 시험 성공의 관건으로 지적된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삼성SDS의 최신 화상회의 솔루션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감독관 1명이 스마트폰으로 응시자 9명을 살피며 부정행위를 차단했다.

첫 온라인 시험을 치른 응시생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시험 문제를 모니터로 보다 보니 첫날에는 "문제와 지문을 한눈에 보기 어렵고 집중력이 떨어진다" "문제 푸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등 불편을 호소하는 시험 후기가 많았다.

삼성 측의 "예년과 시험 난이도는 비슷하다"는 설명과 달리 수리 영역을 비롯해 체감 난이도가 높았다는 평가도 나왔다.

시험 이틀째에는 긍정적 반응이 많아졌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는 가운데 "새벽부터 고사장까지 장거리 이동할 필요가 없어 좋았다" "코로나 걱정 없이 집에서 편하게 시험을 볼 수 있어서 다행" 등 후기가 올라왔다.

삼성은 첫 온라인 GSAT 결과를 바탕으로 일부 보완 작업을 거친 뒤 온라인 비대면의 장점을 향후 사원 채용에 다양하게 활용하기로 했다. 하반기 공채에도 온라인 시험이 도입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 측은 "온라인 시험이 대규모 지필고사보다 사회적 비용 축소, 응시자 편의 측면에서 효용이 크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