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코로나 해고' 도 인종차별
워싱턴포스트 설문조사 결과 해고비율 히스패닉 흑인이 백인보다 높아
코로나19 확산으로 치명타를 입은 미국에서 인종에 따라 체감하는 경제적 피해가 다르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가 6일(현지시간) 공개한 공동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히스패닉이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을 확률이 백인보다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 코로나19가 발병한 이후 히스패닉의 20%, 흑인의 16%가 일시해고, 또는 해고된 가운데 백인은 같은 항목 비율이 11%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WP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봉쇄 조치가 일부 인종과 집단에 불균형적 피해를 미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풀이했다.
이 가운데 가장 큰 피해를 겪는 계층은 히스패닉계 남성으로 전체 응답자의 22%가 임시 또는 잠정 해고됐으며, 히스패닉계 여성들의 18%도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치명률도 백인보다 흑인과 히스패닉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고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밝혔다. 경제학자들은 흑인과 히스패닉 노동자들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나 봉쇄령으로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관광과 소매, 건설 등의 산업군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블루칼라 산업 종사자의 해고 또는 해고 가능성이 26%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화이트칼라 근로자의 해고 가능성은 11%로 블루칼라의 절반 이하로 집계됐다.
해당 여론조사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4일까지 무작위로 선정된 표본을 통해 모집된 미국 성인 8086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1%포인트다.
이날 발표된 AP통신과 시카고대 여론연구센터(NORC)의 다른 설문조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히스패닉의 37%, 흑인의 27%가 코로나19로 인해 최소 한 차례 결제금액을 미납했다고 응답한 가운데 같은 답변을 한 백인 응답자는 17%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 히스패닉의 61%가 일시해고와 노동시간 단축, 무급노동, 임금삭감 등으로 인한 가계소득 감소를 겪었다고 밝힌 가운데 같은 상황을 겪은 흑인은 46%, 백인은 43%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