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교복 이르면 2학기부터 시행
문체부·교육부, 시범학교 20곳 선정해 시제품 만들어 동복·하복 등 디자인 53종 개발… 1인당 30만원 지원
정부가 대표적 전통문화인 한복을 일상생활에서 되살리기 위한 한복교복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르면 2학기, 늦어도 내년부터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한복교복을 착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는 한복교복을 시범적으로 보급할 중·고등학교를 이달 6일부터 29일까지 공모한다고 5일 밝혔다. 시도별 신입생 교복비 지원을 받는 무상교복 학교 10곳과 지원을 받지 않는 학교 10곳 등 총 20개교를 선정한다.
무상교복 학교는 한복 디자이너가 학교를 방문해 관계자 의견을 수렴한 뒤 맞춤형 디자인을 개발하고 교복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무상교복 학교가 아닌 경우는 한복교복 시제품 제작에 더해 교복 구입비까지 3년 동안 학생 1인당 30만원 한도에서 지원한다. 1년차 1·2학년, 2년차 1학년, 3년차 1학년 등 4개 학년이 대상이다. 문체부는 "시범학교는 신청 학교의 학생 수에 따라 그 수가 일부 달라질 수 있다"며 "한복교복은 빠르면 올해 2학기, 늦으면 내년부터 착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체부와 교육부는 지난해 2월 한복교복 보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고 공동사업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4월 '한복교복 디자인 공모전'과 시도 교육청 관계자 품평회 등을 거쳐 한복교복 시제품 디자인 53종을 개발했다.
한복교복은 동복, 하복, 생활복으로 구분되며, 여학생 교복은 치마, 내리닫이(원피스), 바지 중 선택할 수 있다. 학생들이 활동하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하의 길이와 상의 품을 전반적으로 넉넉하게 만들었다. 몸에 꽉 끼는 등 성 역할을 정형화한다는 지적을 받은 여학생 교복이 아닌 편한 교복이 될 수 있도록 신경 썼다.
아울러 매일 입고, 자주 세탁해야 하는 교복 특성을 고려해 내구성과 기능성을 갖춘 교복용 원단을 사용했다. 한복교복 시범학교 선정 결과는 6월 초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공모기간인 이달 6∼29일 서울 인사동 KCDF갤러리에서 한복교복 시제품을 전시하고 지원 범위와 절차 등에 대한 상담을 진행한다. 상담은 생활 방역을 고려해 사전 예약제로 운영하며 오는 12일 광주, 15일 부산 등 권역별 현장 설명회도 연다.
문체부는 "하반기에는 문화예술기관 종사자들을 위한 한복 근무복(유니폼)을 개발하는 등 한복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