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0.1%…6개월만에 최저치 경신
국제유가 하락에 휘발유값 내리고 외식급감 영향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0%대로 6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며 외식 수요가 줄고 석유류 가격이 하락한 영향이 컸다.
통계청이 4일 내놓은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95(2015년 100 기준)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0.1%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0월(0.0%)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2개월 연속 1%를 밑돌다가 올해 1∼3월 1%대로 올라섰는데 4월에 다시 0%대로 내려갔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국제유가 하락의 여파로 석유류 가격이 6.7% 떨어져 전체 물가상승률을 0.28%포인트 끌어내렸다.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 가격은 0.7% 내렸다.
석유류 가격 하락 이외에도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로 승용차 가격이 차종별로 1∼3% 내린 점도 영향을 미쳤다. 공공서비스는 1.6% 하락해 전체 물가상승률을 0.23%포인트 낮췄다.
올해 4월부터 고교 무상교육이 고교 3학년에서 고교 2학년까지 확대되면서 고교 납입금이 64.0% 줄어든 영향도 컸다. 고교납입금은 단일품목으로 4월 소비자물가를 0.3%포인트 낮추는 효과를 냈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1.8% 상승했다. 코로나19로 가정 내 식재료 수요가 늘면서 수산물은 8.1%, 축산물은 3.5% 올랐다. 품목별로는 달걀이 12.3%, 국산 쇠고기와 돼지고기가 각각 5.4%, 2.6% 상승했다. 집밥 수요 증가 속 가공식품 가격도 1.3% 올랐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1.0%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외식 물가가 가격상승 요인이 많은 연초임에도 지난해 같은달 대비 0.8% 상승에 머물렀다. 외식 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올해 1월(0.9%)부터 4개월 연속 0%대 상승률을 보였다. 이처럼 외식 물가가 장기간 0%대 낮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은 2012년 5월∼2013년 2월 이후 7년 만이다.
사람들이 대면 접촉을 피하자 여행 관련 서비스 물가도 하락해 승용차 임차료(-16.0%), 호텔 숙박비(-6.8%) 등이 큰 폭으로 내렸다.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률이 주춤한데다 공공 서비스 가격도 하락하면서 전체 서비스 가격은 0.2%의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밖에 전기·수도·가스 가격은 1.4% 올랐고, 집세는 보합세를 보였다.
한편 마스크 가격은 온라인에서도 개당 2천원대로 떨어지며 안정적 흐름을 보였다.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 주말 온라인에서 KF94 마스크 평균가격은 2900원대로 하락했고, 오프라인 가격은 1720원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통계청은 “가격조사를 시작한 초기에 개당 5천원대였던 마스크 온라인 판매가격은 지난주 금요일 3050원대였다가 주말에 2900원대로 내려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