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 내세워 '외교와 경제' 쌍끌이 포석

홍남기 부총리, 개도국의 보건 사업에 4억달러 긴급지원 앞으로 3년간 신남방·신북방 공적개발원조 70억달러로 세계교역 급감해 수출중심 우리경제의 충격완충 밑작업

2020-04-28     이코노텔링 곽용석기자
정부는

정부는 개발도상국의 코로나19 보건사업에 4억달러 이상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자금을 연내 긴급 지원하고, 26개 저소득국에 대해 1억1천만달러의 채무상환을 유예하기로 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대외경제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사태를 새 시장 개척과 국가 위상 제고를 위해 K-방역 모델을 경제협력 심화를 위한 자산으로 적극 활용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는 또 15년 이상 증액이 없었던 수출입은행의 해외 현지법인 4개의 자본금을 1억4500만달러에서 4억달러로 증액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세계교역이 급감해 수출 중심의 우리 경제에 큰 충격이 되고 있고, 국제유가 대폭 하락, 글로벌 외국인직접투자(FDI) 급감 등 대외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급증하고 있다"면서 이달 20일까지 우리나라 수출이 26.9% 감소하면서 영향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밖에 대외 경제환경 악화 변수로 인적·물적 자원의 국가 간 이동 단절로 인한 수주 차질, 현지 공장 가동 중단, 글로벌 가치사슬 약화와 자국 우선주의 경향을 꼽았다. 이에 따라 대규모 프로젝트의 발굴·기획·입찰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해외 인프라 수주 활성화 방안을 다음달 마련하는 등 수출력을 견지하고, K방역 등 국제공조와 양자협력 강화, 포스트 코로나 대비 등에 중점을 두고 올해 대외 경제정책을 보강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특히 앞으로 3년 동안 신남방·신북방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직전 3년 대비 2배 이상 많은 70억달러(8조5천억원) 수준으로 대폭 확대해 전략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다음 달 6일 우즈베크 부총리와 화상회의를 열고, 한러 공동투자펀드 결성도 연내 펀드 출범을 목표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코로나19로 디지털 교역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앞으로 세계무역기구(WTO) 전자상거래 협상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양자 간 디지털 협정 논의도 본격 적으로 전개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