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직격탄 맞은 두산重 휴업 검토
"10조 원전장비 수주액 증발"…노조는 거부
수주 부진으로 경영 위기를 겪는 두산중공업이 명예퇴직에 이어 휴업 검토에 들어갔다. 두산중공업은 10일 금속노조 두산중공업지회에 '경영상 휴업 시행을 위한 노사협의 요청' 공문을 보냈다.
고정비 절감을 위한 긴급조치로 근로기준법 46조, 단체협약 37조에 근거해 ‘경영상 사유에 의한 휴업’을 하겠다는 방침을 전달했다. 휴업 대상 선정과 휴업 기간 등 세부 방안은 노동조합과 협의하기로 했다.
두산중공업은 휴업을 검토하게 된 배경으로 원자력·석탄화력 프로젝트 취소로 인한 경영실적 악화를 거론했다. 정부의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들어있던 원자력·석탄화력 프로젝트가 취소되면서 약 10조원 규모 수주 물량이 증발해 경영 위기가 가속화되었다고 지적했다.
회사 측은 2012년 고점 대비 현재 매출이 50% 아래로 떨어졌고 영업이익은 17% 수준에 불과한데, 최근 5년간 당기 순손실액이 1조원을 넘어 영업활동만으로 금융비용을 감당할 수 없고 신용등급까지 하락하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봉착했다고 설명했다.또한 비용 축소, 신규채용 억제, 임원·조직 축소, 한시적 복지유예, 순환휴직, 인력 전환 배치, 조기퇴직, 명예퇴직 등 고정비를 줄이고 운영 효율화를 했지만, 한계에 도달했고 보다 실효적인 비상경영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두산중공업이 휴업 검토에 들어간 분야는 플랜트EPC비지, 파워서비스비지, 원자력비지 등 원자력·석탄화력 발전설비 부문이다. 두산중공업은 지난달 5년여 만에 명예퇴직을 실시해 기술직·사무직을 포함해 500여명의 신청을 받았는데, 이 정도 감원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휴업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두산중공업 노동조합은 11일 확대간부회의를 열어 휴업 협의 요청을 거부하기로 했다. 노조는 오너의 사재 출현과 사내유보금 사용, 두산지주 지원, 전문경영인 선임 등을 통해 위기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정부에 대해서도 “급속한 탈원전 정책으로 두산중공업 뿐만 아니라 200여개 협력업체 종사자 등이 직장을 잃고 있다"면서 탈원전 정책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연구개발 기술 인력들에게 시간적 여유와 기회를 줘야 한다고 요청했다.
경남 창원에 위치한 두산중공업은 직원이 6천여명으로 부분 휴업에 들어갈 경우 경남 지역 경제가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된다. 두산중공업의 휴업 검토 소식에 11일 두산중공업 주가는 20% 넘게 급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