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주민 교통비 부담 줄어드나
일주일 '최대 30% 절감' 광역 알뜰교통카드, 7개 광역시·경기도 확대 후불 알뜰카드도 도입… 미세먼지 비상 저감 조치 발령땐 두배로 적립
대중교통요금을 최대 30% 줄일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 사업이 올해 본격 추진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광역알뜰교통카드 사업을 7개 광역시와 경기도 전 지역 등 주요 13개 시·도, 101개 시·군·구로 확대해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최대 20%의 마일리지를 지급하고, 카드사가 약 10%의 추가할인을 제공하는 교통카드다. 지난해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올해부턴 후불 알뜰교통카드를 도입해 사전에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앴다. 지난해 신한카드와 우리카드에 이어 올해 하나카드를 협업카드사로 추가해 이용자의 선택 폭도 넓혔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카드사별로 10∼20%의 대중교통요금 할인은 물론 편의점·카페·병원 등 다양한 생활비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마일리지 적립을 위한 앱 작동 절차도 간소화했다. 지난해보다 작동 절차를 한 단계 줄여 2단계의 작동(출발→도착)만으로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상반기 중으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면 실물카드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마일리지 적립과 결제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마일리지 혜택도 대폭 확대한다. 대중교통비 지출액에 따라 마일리지를 차등 지급함으로써 교통비 부담이 많은 광역통행자들이 교통비 절감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 미세먼지 비상 저감조치 발령시에는 해당 일자의 마일리지가 2배로 적립되도록 했다. 적립된 마일리지가 월 최대한도를 초과해도 추가 지급된다.
이달 9일부터 저소득층 청년에게는 대중교통비 지출액에 따라 100∼200원의 마일리지가 추가 지급된다. 이에 따라 해당자는 월 최대 2만8600원(44% 상향)까지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