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부동산 급등에 원정매수 한 몫

지방 현금 부자들 강남 아파트 4채 중 한 채 사들여 지방 침체로 서울로… 신도시보상금, 또 다른 뇌관

2019-11-13     장재열 이코노텔링 기자

서울 강남권에서 거래되는 아파트 4채 중 1채는 지방의 `현금부자`들이 사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지방 간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빚어진 현상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7702채 중 1806채(23.4%)를 서울 외 거주자가 사들였다.

지방 거주자가 강남 아파트를 매입하는 비율은 2017년 21.4%에서 2018년과 올해 23%선으로 높아졌다. 강남구의 경우 지방 거주자의 매입 비율은 2017년 22.6%(7357채 중 1667채)에서 2018년 24.3%(4835채 중 1176채), 올해 24.6%(2252채 중 555채)로 올라갔다. 서초구도 서울 외 거주자의 아파트 매매 비중이 2017년 18.4%에서 지난해 19%, 올해는 20.7%로 높아졌다. 강동구도 2017년 22.1%에서 올해 24.6%로 뛰었다. 송파구만 2017년 21.7%에서 지난해 25.7%로 올랐다가 올해는 23.1%로 소폭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서울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오르지만 지방은 하락하는 `가격 양극화 현상` 때문에 지방 부자들의 자금이 강남권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장 공인중개업소는 최근 집값이 다시 상승하면서 지표로 나타난 숫자보다 서울 외 거주자들의 강남권 아파트 매입 비중은 더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일각에선 내년부터 수도권 3기 신도시의 토지보상금이 풀리면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내다본다. 수도권 등 지방에서 보상금을 받은 사람들이 서울 강남 지역 ‘똘똘한 아파트’에 재투자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업계는 3기 신도시 보상금으로 45조원 정도가 집행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