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레, 시위 사태로 11월 APEC정상회의 취소

기후변화당사국 총회도 포기…한일정상회담·미중 무역합의 서명 일정 차질

2019-10-31     고윤희 이코노텔링기자

반정부 시위가 격화하며 혼란 상태인 칠레가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를 전격 소했다. 정상회의 개막을 불과 17일 남기고 내린 결정이다.

세바스티안 피녜라 칠레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11월 APEC 정상회의와 12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를 개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고 AP통신 등 주요 외신이 전했다.

칠레에서는

피녜라 대통령은 이같은 결정이 "최근 몇 주간 칠레와 모든 국민들이 겪어온 어려운 상황" 때문이라며 "정부가 가장 걱정하고 중요시하는 것은 공공질서와 시민들의 안전, 사회적 평화를 회복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매우 어렵고 고통스러운 결정이었다. 이 결정으로 APEC과 COP에 생길 문제와 불편에 깊은 유감을 전한다"며 "대통령은 그 어떤 것보다 항상 자국민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APEC은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21개국이 참여하는 지역 경제협의체다. 다음달 16∼17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릴 예정이던 올해 정상회의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등이 참석할 계획이었다.

APEC 정상회의 개최가 취소되면서 이를 계기로 한 참가국 정상의 양자회담 일정도 차질을 빚게 됐다. 산티아고에서는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만남 가능성도 제기됐다. 문 대통령이 아베 총리에게 조기 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뜻을 담은 친서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본 측은 다음 달 중에는 정상회담을 하지 않을 방침을 굳혔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날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과 관련한 1단계 합의에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서명하는 방안도 추진돼왔는데 이또한 변경이 불가피해졌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앞서 APEC 정상회의 참석을 발표했다가 이날 피녜라 대통령의 발표 몇 시간 전에 참석 취소 결정을 알렸다.

COP25는 12월 2∼13일 열릴 예정으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스웨덴의 10대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 등이 참석하기로 되어 있었다.

칠레에서는 지하철요금 인상에 대한 불만이 사회 불평등에 대한 분노로 번지면서 18일부터 대규모 시위가 열흘 넘게 이어졌다. 혼란을 틈탄 방화와 상점 약탈 등으로 치안이 불안해지고, 지하철 운행도 차질을 빚었다.

칠레 정부는 지하철요금 인상 철회를 시작으로 연금·임금 인상과 개각 등 대책을 내놨지만 시위는 잦아들지 않고 있다. 칠레 정부는 24일까지만 해도 "어떤 일이 있어도 시위가 국제회의 개최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고 밝혔는데, 시위가 다시 과격해지고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자 이날 개최 취소를 전격 발표했다.

이같은 칠레의 결정으로 APEC 정상회의 일정이 변경되는지, 다른 장소에서 개최되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참가국 정부들도 칠레의 개최 취소 사실을 사전에 알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