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8만명 더 낸다

서울 등 집값 올라 54만명에 과세

2025-11-26     이코노텔링 장재열 기자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이 급등하며 올해 주택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이 54만명으로 지난해보다 8만명 증가했다. 특히 서울에서만 5만9000명 증가했다.

기획재정부가 26일 공개한 2025년도 종합부동산세 고지 내역에 따르면 주택분 종부세 고지 인원은 54만명으로 지난해보다 8만명(17.3%), 주택분 종부세 세액은 1조7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000억원(6.3%) 늘었다. 올해 종부세 고지 인원은 2024년 전체 주택보유자(1597만6000명)의 3.4%다.

종부세 고지 인원은 문재인 정부 첫해인 2017년 33만2000명에서 2018년 39만3000명, 2019년 51만7000명, 2020년 66만5000명, 2021년 93만1000명으로 가파르게 증가한 데 이어 2022년에는 120만명에 육박했다. 이후 윤석열 정부가 공시가 현실화율을 낮춰 2023년 41만명선으로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기재부는 "종부세 제도는 별 변화가 없는데 신규 주택 공급과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 등 시장요인으로 과세 인원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집값이 큰 폭으로 오른 서울 지역 과세 인원이 32만8000명으로 지난해(26만9000명)보다 5만9000명 늘며 가장 높은 증가율(21.0%)를 보였다.

이어 인천이 약 2000명(19.0%, 9000명→1만1000명), 경기도 1만7000명(15.7%, 9만6000명→11만3000명) 등 수도권 지역 3곳이 증가율 1~3위를 차지했다.

전체 종부세 과세 인원 가운데 서울 지역 거주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60.7%에 이르렀다. 인천·경기(23.0%)까지 포함하면 수도권 종부세 대상자가 전체 주택분 종부세의 83.7%를 차지했다.

토지분 종부세는 과세인원 11만명에, 세액 3조6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주택분과 토지분을 합친 전체 종부세 세액은 5조3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3000억원(6.1%)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