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집 마련에 '14년'

그것도 한 푼 안쓰고 '영끌'해야…임차 가구의 월 소득 16%가 집세로 나가

2025-11-17     이코노텔링 김승희 기자

2024년 기준 서울에서 집을 장만하려면 약 14년 동안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모아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16일 발표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중간값 기준으로 13.9배로 집계됐다. PIR은 연간 소득으로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지난해 기준 서울에서 내 집을 가지려면 13.9년간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는 얘기다.

주거실태조사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표본 6만1000가구를 방문해 면담 조사한 것이다.

서울에 이어 PIR이 높은 지역은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의 순서였다. 수도권 PIR은 2023년 8.5배에서 지난해 8.7배로 높아졌다.

지난해 전국 임차 가구의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중'(임차 가구 RIR)은 중간값 기준 15.8%로 2023년과 같았다. 전월세 세입자들은 월 소득의 15.8%를 임대료로 지출한 셈이다.

실제 거주 여부와 관계없이 자기 집을 가진 가구의 비율인 자가 보유율은 지난해 61.4%로 2023년(60.7%) 대비 0.7%포인트 올랐다. 자신이 소유한 집에서 거주하는 자가 점유율도 58.5%로 2023년(57.4%)보다 상승했다.

지난해 주택 점유 형태는 자가가 58.4%, 임차가 38.0%였다. 가구주로 독립한 뒤 생애 첫 집을 장만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7.9년으로 2023년(7.7년) 대비 2개월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