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고용률 18개월 연속 하락
10월에 16만3000명 줄며 연령별 감소폭 가장 커…청년층 '쉬었음' 40만9000명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효과로 지난 9월 30만명대의 증가세를 보였던 취업자 수가 10월 들어 다시 10만명대로 낮아졌다. 국가데이터처가 12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0월 취업자 수는 2904만명으로 지난해 10월보다 19만3000명 증가했다.
이는 9월 증가 폭 31만2000명보다 11만9000명 줄어든 규모다. 취업자 수는 올해 들어 5월(24만5000명)과 9월(31만2000명)을 제외한 나머지 달에는 10만명대의 부진이 이어졌다.
10월 취업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9월과 마찬가지로 60세 이상(33만4000명), 30대(8만명)에서만 늘었다. 나머지 연령대에서 모두 취업자가 줄었다.
특히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6만3000명 줄며 감소폭이 가장 컸다. 9월 감소폭 14만6000명보다 더 늘었다. 청년층 고용률도 44.6%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낮아졌다. 청년층 고용률은 18개월 연속 하락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건설업 등의 부진이 지속됐다. 건설업은 12만3000명 줄며 18개월 연속 감소했다. 감소폭도 9월(8만4000명)보다 커졌다. 제조업도 5만1000명 줄며 16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이와 달리 도소매업 취업자는 4만6000명 늘며 2017년 11월(4만6000명)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취업자 수도 7만명 늘어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소비쿠폰과 공연·전시 할인권 지급이 영향으로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0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12만1000명으로 3만8000명 증가했다. 구직활동도, 일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는 258만명으로 13만5000명 늘었다.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40만9000명으로 9000명 줄었지만, 30대에서 2만4000명 늘어난 33만4000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