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물가 고공행진

잦은 비에 2.4% 올라…개인서비스료도 3.6% 인상

2025-11-04     이코노텔링 장재열 기자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로 1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긴 추석 연휴에 여행·숙박 수요가 많고, 잦은 비로 농산물 출하가 지연된 데다 지난해 석유류 가격 하락 폭이 컸던 것과 비교하는 기저효과도 작용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4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42(2020년 100 기준)로 지난해 10월 대비 2.4%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7월 2%대에서 8월 1.7%로 둔화했다가 9월에 2.1%로 올라섰다.

해외 단체여행비, 숙박료, 미용료 등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 이용료가 3.6% 오르며 전체 물가를 0.72%포인트(p) 끌어올렸다. 유난히 긴 7일 간의 추석 연휴에 해외 단체여행비, 승용차 임대료, 콘도 등 여행 관련 물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데이터처는 설명했다. 콘도 이용료가 26.4% 급등했고, 승용차 임차료(14.5%)와 해외 단체여행비(12.2%)도 두 자릿수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농축수산물 물가도 3.1% 뛰며 전체 물가 상승에 0.25%p 기여했다. 이 중 축산물이 5.3%, 수산물은 5.9% 올랐다. 특히 서민층이 자주 찾는 돼지고기(6.1%)와 고등어(11.0%)의 가격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농산물도 1.1% 오르며 한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쌀(21.3%)과 찹쌀(45.5%) 등 곡물은 잦은 비로 출하 시기가 늦어지며 상승 폭을 키웠다. 과실류(10.9%)는 사과(21.6%) 상승 폭이 컸는데, 이것도 잦은 비로 사과 출하가 늦어졌기 때문이다.

채소류는 출하량 증가 및 지난해 10월과 비교하는 기저효과로 14.1% 하락하며 농산물 가격 상승세를 일부 상쇄했다.

석유류는 4.8% 올라 2월(6.3%) 이후 8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큰 폭으로 하락한 국제유가(-10.9%)와 비교하는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쳤다.

가공식품은 3.5% 올랐지만, 9월(4.2%)보다는 상승 폭이 낮았다. 추석을 앞둔 할인행사와 명절 관련 식료품(부침가루·식용유 등) 가격 하락과 상승 폭 축소 효과라고 데이터처는 설명했다.

외식 물가는 3.0% 올라 9월(3.4%) 대비 상승 폭이 둔화했다. 햄버거·피자 등 일부 업계의 세일이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