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러운 대만 성장률"
반도체 호황에 올 5%성장 예상돼 '1% 턱걸이' 우리나라와 대비
세계적으로 첨단 반도체 제조 공정을 선도하는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5%대로 전망되는 반면 비상계엄과 내수 부진 등으로 한국은 1% 언저리에 머물며 성장률 격차가 더 벌어졌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9월말 기준 주요 해외 투자은행(IB) 8곳이 전망한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평균 5.3%로 집계됐다. 8월 말 전망치(4.5%)보다 0.8%포인트(p) 더 올라갔다. 역시 대만 통계청이 최근 제시한 4.45%보다도 1%p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지난 한 달 사이 노무라와 JP모건 등 5곳이 대만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노무라는 8월 4.6%에서 9월 6.2%로 높였다. JP모건도 5.8%에서 6.1%로 올렸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는 3.5%에서 5.2%, 씨티는 3.5%에서 4.4%, HSBC는 3.3%에서 5.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바클리, 골드만삭스, UBS는 기존 전망치 5.0%를 유지했다.
IB들이 대만의 성장률 전망치를 높인 것은 반도체 수출을 중심으로 고속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만은 세계적인 인공지능(AI) 붐과 고성능 반도체 수요 증가에 힘입어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인 TSMC를 중심으로 대미 반도체 수출을 크게 늘렸다.
실제로 대만의 8월 수출액은 584억9000만달러로 월간으로 처음 한국(584억달러)을 추월했다. 2분기 경제성장률도 전년동기 대비 8.01%를 기록했다.
이와 달리 이들 IB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계속 1.0%에 머물렀다. JP모건이 8월 0.8%에서 9월 0.9%로, HSBC가 0.7%에서 0.9%로 각각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지만, IB 8곳의 평균 전망치는 변동이 없었다.
정부와 대만 통계청에 따르면 대만의 올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3만866달러로 한국(3만7430달러)을 22년 만에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서 고공 행진할 경우 양국간 1인당 소득 격차는 이보다 더 벌어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