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물가' 꿈틀
9월에 2.1% 올라 …가공식품 4.2%·수산물 6.4% 상승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명절 수요 영향으로 달걀값이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르는 등 가공식품과 축·수산물 등 먹거리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0년 100 기준)으로 지난해 9월보다 2.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7월 2%대를 기록했다가 8월에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른 요금 인하 효과로 1.7%로 둔화했었다.
가공식품 물가는 8월과 마찬가지로 4.2% 뛰며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p) 끌어올렸다. 특히 빵(6.5%), 커피(15.6%)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가공식품 가격 상승세로 공업제품 물가(2.2%)도 1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5.4%, 6.4% 오르며 물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은 8월보다 상승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물가상승률을 웃돌았다.
특히 달걀은 추석을 앞두고 수요가 늘면서 8월(8.0%)보다 상승 폭(9.2%)이 커졌다. 2022년 1월(15.8%) 이후 최대 폭 상승이다.
농산물 물가는 1.2% 하락했다. 채소류 가격이 1년 전과 비교하는 기저효과로 하락 전환(-12.3%)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쌀(15.9%), 찹쌀(46.1%) 등 일부 품목은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외식 물가는 3.4% 상승했다. 배달료 인상, 지난해 추석 명절 세일행사와 비교하는 기저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8월(3.1%)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