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AI 리모델링'
대화 내용 알아서 요약하거나 대화 내용 인식해 맞춤형 정보제공 내달부터 채팅창서 챗GPT 활용… 삭제 기능서 수정 기능도 추가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이 자체 인공지능(AI) 기능과 챗GPT를 적용하는 등 출시 15년 만에 확 바뀐다. 대화 내용을 알아서 요약하거나 스스로 대화 내용을 인식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카카오는 23일 '이프 카카오' 행사를 열고 이런 내용의 카카오톡 개편 방향을 공개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AI 서비스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전용 AI 서비스 '카나나'를 연내 선보인다. 카나나는 이용자의 대화 상황을 스스로 이해해 별도 지시가 없어도 이용자에게 카톡을 보낸 일정을 관리하거나 유용한 정보를 안내한다.
예약 및 상품 추천도 지원한다. 특히 카나나는 보이스톡 녹음 및 요약 기능도 제공한다. 보이스톡으로 상대방과의 대화를 녹음하고 카나나가 대화 내용을 요약해준다. '안 읽은 채팅방'의 대화를 카나나가 요약해주는 기능도 있다.
자체 AI 서비스 카나나 외에 글로벌 AI 선두 기업인 오픈AI의 챗GPT가 10월부터 카카오톡 내부 기능에 들어온다.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나누면서 챗GPT 기능을 선택해 서비스를 이용하고 그 결과물을 채팅방에 공유할 수 있다.
이번 기능 개편에 따라 이용자는 채팅방 종류 별로 10개 폴더를 형성해 폴더마다 최대 100개의 채팅방을 분류할 수 있다. 특히 '안읽음' 폴더에서 채팅방을 살짝 아래로 당기면 안읽은 메지시를 미리 볼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된다.
기존 메시지 삭제 기능에서 수정 기능도 추가된다. 수정은 최초 메시지 발신 이후 24시간 이내에 가능하다. 메시지를 수정하면 '수정됨' 문구가 표시된다. 카카오는 채팅방 폴더와 메시지 수정, 보이스톡 통화 녹음 및 AI 요약, 지금탭, 친구탭 등 카카오톡의 신규 기능 업데이트를 이날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탑재에 따른 보안 우려와 관련해 "보이스톡은 요약만 생성한 후 지체 없이 삭제하고, 안 읽은 대화도 지체 없이 삭제한다"며 "카카오톡 데이터는 챗GPT에 학습되지 않고 서버에 저장되지 않는다. 이를 철저히 지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