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무선청소기 흡입력 좋지 않아"

소비자원·국가기술표준원 등과 공동 조사 결과 삼성·LG 제품의 3분의 1 수준도 안돼

2025-09-18     이코노텔링 김승희 기자

국내에서 유통되는 중국산 무선 청소기의 흡입력 표시가 실제 성능과 관련이 없는 단위를 써 소비자 혼동을 초래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흡입력을 측정한 결과 삼성·LG전자 등 국산 무선 청소기 제품의 3분의 1 수준에도 못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과 함께 국내에서 유통되는 무선 청소기 10종을 대상으로 흡입력을 시험 평가한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로보락과 샤오미 등 중국산 대부분 제품이 흡입력과 직접 관계없는 진공도 단위인 파스칼(Pa)을 사용해 국제표준(IEC) 흡입력 단위인 와트(W)로 표시하는 국산 청소기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처럼 오인하게 했다.

로보락·샤오미·아이닉·아이룸·디베아·틴도우 등 중국산 무선 청소기 6종은 제품 흡입력을 1만8000~4만8000Pa 범위로 표시했다. 하지만 이는 와트 단위보다 훨씬 수치가 커서 자칫 흡입력이 높은 것으로 오인할 소지가 있다. 실제 흡입력 시험 결과 삼성·LG전자와 다이슨 청소기는 최대 흡입력 280W 이상을 충족했다.

반면 흡입력을 1만8000~4만8000Pa로 표기한 중국산 청소기 6종의 최대 흡입력을 W로 환산하면 국산 청소기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58~160W 수준이었다. 국내에서 많이 팔린 로보락 제품은 72W, 샤오미 제품은 82W에 그쳤다.

소비자원은 "진공도는 흡입력을 이루는 일부 요소로서 공기 유량은 없고 제품 내부 압력 상태만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라며 "파스칼을 청소기의 흡입력 단위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청소기의 핵심 성능인 흡입력 단위를 와트로 통일해 소비자가 쉽게 확인·비교할 수 있도록 개선할 방침이다. 아울러 소비자원은 무선 청소기 8개 수입 업체에게 흡입력 수치·단위 표시를 선제적 개선할 것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