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층에 '가치 소비' 확산
만 17∼28세의 67% "조금 비싸더라도 ESG 실천 기업의 제품 구매 의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중시하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신념·가치관에 따라 제품과 서비스 구매를 결정하는 '미닝 아웃'(Meaning Out·가치 소비)이 젊은 층의 소비 트렌드로 떠올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만 17∼28세(Z세대)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6일 공개한 'ESG 경영과 소비 트렌드 인식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금 비싸더라도 ESG를 실천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겠다'는 응답이 66.9%였다. 이들은 기업의 ESG 활동에 따라 구매를 결정하거나 중단하는 등의 가치 소비를 통해 자신의 신념을 표현하는 소비계층으로 분류된다.
Z세대는 사회적 물의를 빚거나 문제가 있는 기업 제품은 '보이콧'하는 단호한 모습도 보였다. 63.7%가 '기업의 비윤리적 행위나 ESG 관련 부정적 이슈로 구매를 중단한 경험이 있다'(63.7%)고 답했다.
대한상의 조사 결과 Z세대의 소비 키워드는 절약을 중시하는 '짠테크'(32.9%), 자신의 신념을 소비로 증명하는 '미닝아웃'(26.5%), '아보하'(23.3%) 등으로 요약됐다. 아보하는 '아주 보통의 하루'의 줄임말로 평범한 일상에서 소소한 만족과 행복을 찾는 라이프 스타일 및 소비를 뜻한다.
Z세대들은 기업 ESG 활동의 진정성에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그린워싱'(위장 환경주의) 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65.4%는 우려를 표명했다. ESG 활동을 진정성 없이 단순 홍보 수단으로 이용하는 기업은 청년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당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의 ESG 경영 여부는 청년층의 진로 선택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사 대상자의 절반 이상(54.2%)은 '취업이나 이직 시 지원기업의 ESG 경영 수준을 확인하거나 입사 여부 결정 시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