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정신' 모르는 '젊은 선생님'
2030 청년 교사 60%가 잘 모른다 응답…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경제교육' 소홀
미래세대 교육의 최전방을 지키고 있는 2030 청년 교사들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인식도가 기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교사들 중 기업가정신을 '잘 알고 있다'고 답한 사람은 10명 중 1명(9.9%)에 불과했다. 또 본인의 경제 지식 수준이 '보통 이하'라고 평가한 교사도 10명 중 8명(82.2%)에 달했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옛 전경련)의 내부 조직인 기업가정신발전소(이하 기발소)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한국교총)에 의뢰해 전국 2030 유‧초‧중‧고 교원 5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30 청년 교사 경제·기업가정신 설문조사 결과 드러났다.
기발소는 올 2월 한경협에 신설된 조직으로 AI시대를 맞아 우리 사회에 기업가정신이 다시 꽃피도록 제반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가정신을 잘 알고 있다'는 9.9%,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30.1%로 기업가정신을 그나마 안다고 한 응답자가 40%에 불과했다.
반면 '들어본 적은 있으나 잘 모른다'(43.3%)와 '전혀 모른다'(16.7%)가 전체의 60.0%로 대다수를 차지해 청년 교사들의 기업가정신 인식도가 기대 이하로 조사됐다.
또 10명 중 8명 이상(82.2%)이 자신의 경제 지식 수준을 '보통 이하'라고 평가해 경제 전반에 대한 이해도도 무척 낮았다.
'보통'이 48.8%로 가장 많았고, '낮음' 25.5%, '매우 낮음' 7.9% 순이었다. 그에 비해 '높음'(13.9%)과 '매우 높음'(3.9%)이라고 답한 비율은 전체의 17.8%에 불과했다.
2030 교사들은 '기업가정신'을 대표하는 국내 기업인으로 고故 정주영 현대 창업자(23.3%), 모름·없음(13.6%),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12.7%) 순으로 답해 '모르거나 없다'는 답변이 2위를 차지했다. 기업가정신과 기업인이 동전의 양면처럼 밀접한 만큼 기업인에 대한 이해도 증진 노력도 시급해 보인다.
청년 교사들은 학교 내 경제교육의 필요성에는 강하게 공감하면서도 실제 교육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응한 교사의 83.3%는 학교 내 경제교육이 '중요하다'(40.7%) 또는 '매우 중요하다'(42.6%)고 응답해 교사 대다수가 경제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경제교육이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충분하다'고 답한 교사들은 10.4%('충분함' 8.8%, '매우 충분함' 1.6%)에 불과했다.
청년 교사들은 '기업가정신'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비교적 공감대가 높았다. 응답자의 77.5%가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52.7%) 또는 '매우 필요하다'(24.8%)고 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16.6%였으며, '별로 필요 없다'(4.2%) 또는 '전혀 필요 없다'(1.7%)는 응답은 소수에 그쳤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 기업가정신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고 느끼는 교사는 10명 중 1명(9.8%=충분함 7.2%+매우 충분함 2.6%) 정도에 불과했다. 충분하지 않음(37.6%)과 전혀 충분하지 않음(24.2%)을 합친 부정 응답은 61.8%에 달했다.
젊은 교사들은 우리나라에 ▷AI 등 IT기반 산업(38.7%) ▷지식서비스업(25.0%) ▷바이오‧헬스케어(24.8%) 등 첨단산업 분야의 창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미래 대응을 위해 학생들이 갖춰야 할 능력으로는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비판적 사고 능력(26.8%) ▷지속 가능한 학습 태도와 자기 개발 능력(20.6%) ▷협업과 글로벌 소통 능력 (17.9%) 등을 꼽았다.
학교 내 경제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입시 위주 교육으로 인한 경제교육 소홀(29.4%) ▷이론 위주 교육으로 인한 실용성 부족(23.7%) ▷경제교육 자료 부족(18.3%) 등을 꼽았다.
한경협 기발소는 "젊은 교사들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 경제 교육, 콘텐츠 개발 노력 등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정철 기업가정신발전소장은 "기업가정신 강화는 한국 경제 재도약의 동력이 될 것"이라며 젊은 교사들에 대한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이란? 기업의 본질인 이윤을 추구하고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기업가(entrepreneur)가 갖춰야 할 자세나 정신을 가리킨다. 도전과 위험 감수, 혁신적인 사고와 행동, 새로운 시장가치 창조 등을 중요시해 창업가정신으로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