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와 관세협상, 기재·통상본부장 '복식 대좌'

25일 미국에서 美재무·USTR대표와 '2+2'협의 마감 8월 1일 앞두고 조현 외교장관도 곧 방미

2025-07-22     이코노텔링 김승희 기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2+2 통상협의'에 나선다. 관세협상 마감 시한(8월 1일)을 앞둔 최종 담판 성격이다.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조만간 미국을 찾아 각각 카운터파트를 설득할 예정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재명 정부 초대 경제·외교 장관들과 첫 대외경제장관회의를 마친 뒤 "긴급하게 대외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해 향후 대미 협상, 관세 협상에 대응할 방향의 인식을 공유하고 전략도 논의했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8월 1일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며 "저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재무부 장관·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2+2'로 25일 회의를 하는 것으로 확정됐다"고 덧붙였다.

'7월 패키지' 추진에 합의한 4월말 회의 이후 석 달만에 '2+2 협의체'를 재가동하는 것이다. 종전 회의체 멤버였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대신해 이번에는 통상 실무를 총괄하는 통상교섭본부장이 나선다.

구 부총리는 "미국 쪽에서 재무장관과 USTR 대표가 (참석하는 것으로) 요청이 와서 저희도 그렇게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로선 산업통상 전반을 총괄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보다 '관세전쟁' 첨병으로 나선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를 내세워 디테일한 합의를 도출하겠다는 포석으로 보인다.

관계 장관들도 일제히 미국으로 향한다.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빠르면 이번 주 미국을 찾아 각각의 카운터파트인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러트닉 상무장관을 접촉할 예정이다.

구 부총리는 "모든 관계부처가 원팀으로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계획을 치밀하게 짜고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며 "마지막 갈 때까지 최선을 다해 아주 촘촘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8월 1일 협상 시한의 연장 가능성에 대해 "가서 협상을 해야 한다, 협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