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등 세계 주요 경제기관 "내년 경기 어둡다"
내년 성장률 낮춰 전망 …OECD " 3.5%로 떨어져"
세계 주요 경제기관들은 대개 내년의 세계 경제 성장세가 올해보다 더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은 올해 하반기 들어 무역과 금융리스크, 수요 부진 등을 이유로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내린 바 있다.
IMF는 지난 10월 내놓은 하반기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지난해 3.7%를 나타냈던 세계 경제성장률이 올해와 내년 모두 3.7%에서 정체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7월까지만 해도 올해 3.9%, 내년 3.9%로 올라설 것으로 봤던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이다.
미국과 중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모두 하향 조정해 미국은 올해 2.9%, 내년 2.5%로 성장세가 하락하고 중국은 올해 6.6%에서 내년 6.2%로 둔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유로존은 올해 2.0%, 내년 1.9% 성장에 그쳐 지난해 2.4% 성장률에도 못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신흥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4.7%로 3개월 만에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OECD는 더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지난달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내년 세계 GDP 성장률이 3.5%로 올해 3.7%보다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성장률을 지난 5월 전망치 3.7%에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주요 20개국(G20) 성장률도 올해 3.8%에서 내년과 2020년에 공히 3.7%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유로존과 영국, 일본의 성장률은 각각 1.8%, 1.4%, 1.0%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성장률은 올해 2.7%. 내년 2.8%, 2020년 2.9%로 각각 전망했다. 취약 신흥국으로 꼽히는 아르헨티나와 터키 GDP는 내년에 각각 1.9%, 0.4% 감소해 역 성장 가능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