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주 물가, OECD 평균 웃돌아
소비 위축 요인으로 작용…과일·육류는 1.5배 이상 비싸
우리나라의 의식주와 관련된 필수 생활물가가 다른 나라보다 너무 높아 가계 소비를 위축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18일 내놓은 '최근 생활물가 흐름과 수준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1년 이후 올해 5월까지 필수재 중심의 생활물가 누적 상승률은 19.1%로 소비자물가 상승률(15.9%)보다 3.2%포인트(p) 높았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글로벌 공급망 차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기상 악화 등으로 식료품·에너지 물가가 크게 오른 데다 최근 수입 원자재 가격과 환율 누적 상승분이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 물가에 반영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생활물가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2023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물가를 100으로 볼 때 한국의 식료품·의류·주거비는 각각 156·161·123으로 세계 주요국 평균을 큰 폭으로 웃돌았다.
영국의 경제분석기관 EIU 통계(2023년 기준)에서도 한국의 과일·채소·육류 가격은 OECD의 1.5배 이상이었다. 이렇게 높은 생활물가는 결국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끌어올려 소비를 위축시킨다.
실제로 2021년 이후 가계의 명목구매력(근로소득)이 물가상승률을 상쇄할 정도로 충분히 늘지 못하면서 2021년∼2025년 1분기 중 평균 실질 구매력 증가율(2.2%)이 팬데믹 이전(2012∼2019년, 3.4%)과 비교해 떨어졌다.
한은 설문조사에서도 올해 1∼4월 소비 지출을 늘리지 않았다는 응답자의 62%가 '물가 상승에 따른 구매력 축소'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생활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체감물가가 높은 수준을 지속하면 가계 기대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쳐 중장기적 관점에서 물가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규제와 진입장벽을 완화해 기업 간 경쟁을 촉진하고, 원재료 수입선 다변화를 통해 특정 품목의 충격이 다른 품목으로 확산하는 정도를 완화하는 것이 긴요하다"며 "가공식품 등 생활물가 상승으로 취약 가계의 부담이 커진 현실을 고려해 단기적으로는 할당관세 등을 통해 농산물 수입 원재료 가격의 안정을 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