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은행 연체율
5월말 기준 0.49%…가계·자영업자 등 은행에 따라 9~ 11년만에 최고
내수 침체가 장기화하며 은행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하는 한계 기업과 가계가 급증하면서 대출 연체율이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계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등 5대 은행의 5월 말 기준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 평균은 0.49%로 집계됐다. 4월 말(0.44%)보다 0.05%포인트(p) 올랐다. 지난해 12월 말(0.35%)과 비교하면 다섯 달 사이 0.14%p 상승했다.
대출 주체별 연체율은 가계 0.36%, 대기업 0.18%, 중소기업 0.71%, 전체 기업 0.60%로 지난해 말보다 각각 0.07%p, 0.17%p, 0.22%p, 0.20%p 올랐다. 특히 내수 부진에 취약한 자영업자·소상공인 등 개인사업자 대출의 부실 징후가 뚜렷했다. 5대 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5월 말 평균 0.67%로 한 달 만에 0.06%p, 지난해 말(0.48%)보다 0.19%p 뛰었다.
고정이하 여신(3개월 이상 연체·NPL) 비율 상승 속도 또한 빠르다. 5월 집계가 아직 나오지 않은 우리은행을 제외한 4대 은행(KB·신한·하나·NH농협)의 5월 말 기준 전체 원화 대출 대비 NPL 비율은 평균 0.45%다. 지난해 말(0.33%) 이후 올해 들어서만 0.12%p 치솟았다.
특히 같은 기간 중소기업(0.16%p, 0.49%→0.65%)과 전체 기업(0.12%p, 0.41%→0.53%)의 상승 폭이 컸다. 가계대출 NPL 비율도 올해 들어 0.11%p(0.23%→0.34%) 올랐다. 가계·개인사업자·기업대출의 부실 위험 지표는 은행에 따라 9∼11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