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취업자' 모처럼 늘었지만 실업률은 올라
작년同月대비 16만5천명 증가… 10개월만에 최대 규모 실업률은3.2%로 올라 同月기준으론 금융위기이후 최고 제조업 8개월·도소매 숙박음식점 12개월째 취업 하락세
모처럼 만에 지난 11월 취업자 수가 제법 늘었다는 통계가 발표됐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아직도 고용상황이 구조적으로 개선됐다는 평가를 듣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12일 ‘2018년 11월 고용동향’ 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취업자가 2천718만4천명으로 작년 11월보다 16만5천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올해 1월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6월 10만6천명을 기록한 이후 7월 5천명, 8월 3천명, 9월 4만5천명, 10월 6만4천명으로 4개월 연속 10만명을 하회했다.
취업자 증가 폭이 11월 들면서 개선되는 쪽으로 돌아서긴 했으나 아직 지난해 월평균(32만5천명)이나 정부의 올해 월평균 전망치(18만명)에는 여전히 크게 못 미치고 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를 종사 형태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4만3천명 늘었고 임시 근로자는 11만6천명이 줄었다. 일용근로자는 2만1천명 늘었다. 비임금 근로자 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만5천명 증가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9만2천명, 무급가족 종사자는 5천명이 각각 감소했다.
특히 지난달 실업자는 90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오히려 3만8천명 증가했다. 실업률도 3.2%로 작년 11월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11월 기준 실업률로는 우리나라 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을 받던 2009년(3.3%) 이후 9년 만인 올해가 가장 높았다. 11월 기준 실업자 수 역시 1999년(105만5천명) 이후 19년 만인 올해가 제일 많았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도·소매업이나 숙박음식점업의 취업자 감소폭이 줄어들면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했다"는 해석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