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연체율 두달 연속 최고치 경신
2월 말 기준 한 달 이상 상환이 연체된 비율 0.35%…임의경매는 1년 전보다 30% 급증
올해 들어 은행권의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두달 연속 상승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음)' 대출자들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중 한 달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비율(연체율)이 0.35%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9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2021년 12월 0.09%에서 추세적으로 올라 지난해 2월 0.33%에 이르렀다. 지난해 1년 동안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던 연체율은 올해 들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2월 0.31%에서 올해 1월 0.34%로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데 이어 2월에 추가 상승했다.
은행권은 코로나19 사태 때 낮은 금리로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음) 대출을 받은 수요자들이 최근 고정금리 약정기간이 지나면서 금리가 오르자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지역의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157.9로 전 분기(150.9)보다 크게 올랐다. 이는 서울 지역 대출자들이 소득의 40.6%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2023년 4분기 소득의 40.1%에서 지난해 1분기 38.8%로 하락한 뒤 3분기 째 30% 후반대를 이어오다 4분기 들어 다시 40%를 넘어섰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4월 서울 지역 부동산 중 임의경매에 따른 매각 소유권 이전 등기가 신청된 부동산은 979건으로 전년 동기(742건) 대비 30% 급증했다. 임의경매는 부동산담보대출 차주가 원리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하면 은행 등 금융기관 신청으로 재판 없이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다.
올해 들어 은행권의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두달 연속 상승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음)' 대출자들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중 한 달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비율(연체율)이 0.35%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9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2021년 12월 0.09%에서 추세적으로 올라 지난해 2월 0.33%에 이르렀다. 지난해 1년 동안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던 연체율은 올해 들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2월 0.31%에서 올해 1월 0.34%로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데 이어 2월에 추가 상승했다.
은행권은 코로나19 사태 때 낮은 금리로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음) 대출을 받은 수요자들이 최근 고정금리 약정기간이 지나면서 금리가 오르자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지역의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157.9로 전 분기(150.9)보다 크게 올랐다. 이는 서울 지역 대출자들이 소득의 40.6%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2023년 4분기 소득의 40.1%에서 지난해 1분기 38.8%로 하락한 뒤 3분기 째 30% 후반대를 이어오다 4분기 들어 다시 40%를 넘어섰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4월 서울 지역 부동산 중 임의경매에 따른 매각 소유권 이전 등기가 신청된 부동산은 979건으로 전년 동기(742건) 대비 30% 급증했다. 임의경매는 부동산담보대출 차주가 원리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하면 은행 등 금융기관 신청으로 재판 없이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