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 업종 좋은 시절 얼마 안 남았다'

한국경제硏 "반도체 등 주력 업종 대부분 3년내 경쟁력 밀려" 기업설문 조사결과"글로벌 경쟁우위 업종 4개서 1개로 줄어" 중국 맹추격…반도체ㆍ철강ㆍ油化 미ㆍ일ㆍ사우디와 접전

2018-11-25     고윤희 이코노텔링 기자
자료=KERI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5일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등 한국의 8대 수출 주력업종의 글로벌 경쟁력이 3년 후 경쟁국에 크게 밀릴 것이라는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경연은 지난 7∼13일 수출 8대 주력업종인 반도체·석유화학·선박·자동차·석유제품·철강·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의 경쟁력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해 해당 기업들을 설문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

이번 조사에서는 8대 업종 중 2018년 현재 한국이 글로벌 경쟁력 우위를 가지는 업종은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석유제품, 선박 등 4개지만 3년 후에는 선박 한 업종만 경쟁력 우위를 가질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8대 업종별 경쟁력을 100으로 볼 때 한국이 경쟁력 우위에 있는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석유제품, 선박 등 4개 업종의 최대 경쟁국은 모두 중국이며 중국의 경쟁력 지수는 90으로 평가됐다.

나머지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등 4개 업종은 경쟁력 열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최대 경쟁국은 반도체는 미국(110), 자동차는 일본(130), 철강도 일본(110), 석유화학 은 사우디아라비아(110) 등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는 3년 후 선박에서만 경쟁력 우위를 지닐 것으로 평가됐다. 최대 경쟁국 중국의 경쟁력 지수 값은 3년 후에도 90에 머물 것으로 예측됐다. 중국은 3년 후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경쟁력 지수 각각 110)에서 한국을 추월하고, 철강과 석유제품에서는 경쟁력이 비슷해질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