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급수단의 46%는 '신용카드'
2030은 모바일카드도 애용하고 60대이상 30%는 현금결제
우리나라 사람들은 지급수단으로 신용카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카드 다음으로 20·30대는 모바일카드, 60대 이상은 현금을 많이 쓴다.
한국은행이 성인 3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25일 내놓은 '2024년 지급수단·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자료에 따르면 지급수단 중 신용카드 이용 비중(건수 기준)이 46.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체크카드 16.4%, 현금 15.9%, 모바일카드 12.9%의 순서로 집계됐다.
최근 1년 내 해외결제 경험이 있는 경우 실물 카드, 해당 국가 현금, 모바일 결제 순서로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물 카드 중 신용카드 비중이 89.2%에 이르렀다.
연령별 선호 지급수단을 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신용카드가 가장 애용하는 수단으로 꼽혔다. 신용카드를 제외한 다른 지급수단의 선호 정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20대와 30대는 모바일카드 선호 비율(각각 36.8%, 34.9%)이 신용카드(38.0%, 49.5%)와 비슷했다. 60대 이상은 신용카드(52.1%) 다음으로 현금(30.2%)이 친숙했다.
한은은 "자급수단 선호도 차이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친숙도, 비대면 거래 선호도 및 경제활동 규모 등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며 "지문, 안면 등 생체정보를 지급에 이용하는 생체인증에 대한 인식과 이용 의향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신용카드는 국내 거래뿐 아니라 해외 결제에서도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지급수단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대면거래의 경우 '최근 한 달 내 대면거래에서 한 번이라도 사용한 적 있는 지급수단'을 묻는 항목(중복 응답)에서는 현금이 88%로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