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석 달 만에 급랭
내수 부진과 수출 증가세 둔화 … "집값 상승" 비중은 높아져
내수 부진과 수출 증가세 둔화 우려로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석 달 만에 다시 나빠졌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4로 2월(95.2)보다 1.8포인트(p) 떨어졌다. CCSI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선포 여파로 12.5p 급락했다가 올해 1월(+3.0p)과 2월(+4.0p) 반등했는데 오름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지수의 절대 수준도 계엄 선포 이전인 지난해 11월(100.7)보다 여전히 낮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소비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2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가운데 향후경기전망(70·-3p), 소비지출전망(104·-2p). 생활형편전망(92·-1p). 가계수입전망(96·-1p) 지수가 하락했다. 현재생활형편(87)과 현재경기판단(55)은 변화가 없었다.
한은은 "내수 부진과 향후 수출 증가세 둔화 우려가 커지고,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낮아지면서 소비자들의 경기 전망이 나빠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택가격전망지수(105)는 6p 올랐다. 1년 뒤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늘었다는 의미다. 지난해 7월(+7p)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한은은 "아파트 매매가격이 2월에 많이 올라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과 가계부채 관리 방안 등의 영향이 시차를 두고 어떻게 나타날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리수준 전망지수(92)는 7p 내려갔다. 2024년 1월(-8p)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한은은 "기준금리가 인하된 데다 시중은행들도 2월 말과 3월 초 사이 가산금리에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하면서 금리 하락 예상이 늘어난 것 같다"고 분석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2.7%로 2월과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