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보는 경기는 '무기력'

15분기째 '부정적' 전망…한한령 해제 기대 '화장품'은 수출 호조세

2025-03-24     이코노텔링 고현경 기자

트럼프발 관세전쟁 영향이 본격화하고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제조업체의 2분기 경기 전망이 여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113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24일 내놓은 기업경기전망지수(BSI)를 보면 2분기 BSI는 전 분기(61)대비 18포인트 상승한 79로 집계됐다.

BSI는 지수가 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 조사 제조업 BSI는 2021년 4분기(91)부터 15분기 연속 100 이하를 기록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71), 중견기업(83), 중소기업(79) 모두 지수가 기준치를 밑돌았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노출도가 높아 관세 등 대외정책 변화에 민감한 대기업의 BSI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 업종에서 2분기 전망치가 기준치(100)를 넘지 못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가시화하면서 철강·자동차 등 직접적인 영향권에 접어든 업종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철강(59)의 경우 전방산업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이 누적된 상황에서 관세 인상, 저가덤핑 등 악재가 쌓이며 지수가 2분기 연속 60 이하를 기록했다. 자동차(74)도 미국·유럽연합(EU) 중심 무역장벽 구축, 중국과의 글로벌 경쟁 심화로 수출 여건이 악화된 영향을 받았다.

수출 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경기에 민감한 반도체(87) 업종도 트럼프 집권 이후 대중국 수출 통제가 강화되고 무역정책 불확실성도 지속되며 전망이 악화됐다. 내수산업인 식음료(80) 업종도 원재료 가격 상승과 고환율 부담 누적으로 최근 제품 출고가격 인상에 나서는 등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이와 달리 화장품(97) 업종은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해제 기대에 따른 대중국 수출 회복 전망과 올 초 미국·일본 등지로의 수출 호조가 이어지며 선방했다. 의료정밀(100) 업종은 중국의 내수진작책에 따른 미용·의료분야 소비회복 기대감에 BSI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