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조선 실무채널 구축 합의
산업장관 첫 회동…안덕근 장관, 대미 무역수지 균형 의지 전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관세 정책이 글로벌 통상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한국과 미국 통상장관이 처음 만나 한미 조선 협력과 향후 관세 이슈를 논의할 실무 채널을 운영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현지시간) 안덕근 장관이 워싱턴 DC 미국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면담해 미국 측에 관세 조치 면제를 요청했다고 28일 밝혔다.
안 장관과 러트닉 장관은 이날 협의에서 양국 조선 협력에 관해 논의하고, 관세 조치에 관한 실무 협의 채널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양국 통상장관 회담은 조현동 주미대사 등이 동석한 가운데 1시간 정도 진행됐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자국 무역적자 해소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와 관련한 한국의 협력을 희망한다는 뜻을 피력하면서도 대한국 관세 계획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간에는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돼 대부분 상품이 무관세로 거래되고 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해 쿼터(할당량) 안에서 무관세 수출을 하던 한국도 3월부터 영향을 받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수지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4월 2일부터 상대국의 비관세 장벽 요소도 고려해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한국의 양대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안 장관은 미국산 가스·원유 등 에너지 수입 확대 등을 통해 한국이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추구하고자 한다는 뜻을 전달하면서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 관심사에 호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조선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협력 의제에서 양측은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안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관심을 표명한 한미 조선 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민관 차원의 체계적 협력 준비에 나설 준비가 됐다는 뜻을 전달했다. 이에 러트닉 장관도 호응하면서 양측이 조선 협력을 구체화할 실무 채널 구축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