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명한 경제의 활로 열자" 주력업종 의기투합

전경련 반도체·자동차·조선등 '업종협회의 연합체 '출범 "글로벌 공급과잉과 보호무역 등 국내외 난관에 공동대응

2018-11-13     장재열 이코노텔링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13일 반도체, 자동차 등 국내 7대 산업별 협회가 참여하는 '주력산업협의체'를 발족시켰다. 이 협의체는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한국석유화학협회 및 대한석유협회(석유화학·제품),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자동차·부품),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한국철강협회,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무선통신기기) 등 7대 산업별 협회 정책 부서장들로 구성됐다. 어려움을 겪는 이들 주력산업의 활로를 모색한다는 게 발족 취지다.

전경련은

협의체 관계자는 "7대 주력산업은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수출환경 악화, 국제경쟁 심화 및 글로벌 공급과잉 지속, 근로시간 단축 및 노사갈등 등 국내외 경영환경 악화로 총체적 난국에 직면했다"며 "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해 협의체 발족에 나섰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앞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대응 ▷산업별 위기 요인 모니터링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발굴 등에 나서게 된다. 이날 발족 회의에서는 내년도 수출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 과제도 논의했다. 반도체, 조선, 철강, 디스플레이 등 4개 산업 협회는 미·중 간 무역 분쟁이 유럽연합(EU) 등에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7대 주력산업의 대응전략으로는 ▷수출국 무역정책 검토 ▷ 수출품목·지역 다변화 ▷현지 기업 네트워크 강화 ▷생산시설 현지화 등을 꼽았다. 정부 지원이 필요한 과제로는 ▷보호무역 당사국인 미·중과의 공조 강화 ▷통상전문인력 확충 및 조직역량 강화 ▷무역 분쟁 정보 공유 및 기업과의 공동대응 등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