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부동산정책의 '사생아'인 '똘똘한 한 채' 의 부작용 지속
지난해 서울 아파트 외지인 매입 비중 21.5%로 역대 최고
지난해 지방 등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원정 매입 비중이 21.5%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똘똘한 한 채' 열풍과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서울 아파트 매입이 늘어난 가운데 아파트값이 비싼 강남보다 강동구 등 중고가 지역의 매수 증가 폭이 컸다.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거래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외 거주자(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1.5%로 2006년 관련 조사 개시 이래 연간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06년 17.8%를 기록한 뒤 10년 동안 17∼18%대를 맴돌았다. 2017년 19.9%로 높아진 뒤 2021년 처음으로 20.0%로 올라섰다. 아파트값이 급락하며 거래절벽 현상을 보였던 2022년 18.7%로 주춤했다가 2023년에 다시 20%대(20.9%)로 올라섰다.
지난해 외지인 매입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동구로 27.3%였다. 2023년 22.3%에서 5%포인트 급상승했다. 이어 광진구가 25.6%, 은평구가 25.3%로 2006년 이후 외지인 매입 비중이 가장 높았다.
금천구(24.7%)와 영등포구(24.0%), 용산구(23.6%), 마포구(22.7%), 송파구(22.5%), 서대문구(22.2%) 등도 외지인 매입 비중이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이와 달리 아파트값이 비싼 강남구와 서초구는 각각 21.5%, 21.2%로 2023년(강남구 22.6%, 서초구 25.0%)보다 낮아졌다.
지난해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은 금리인상 여파로 아파트값이 급락한 이후 전세사기와 빌라 기피 현상이 나타나면서 부동산시장의 안전자산 격인 서울 아파트로 매수자들이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