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지하화 사업' 지방부터 착수

정부, 부산·대전·안산에 4조3000억 투입해 지방 건설경기도 살린다

2025-02-20     이코노텔링 고현경 기자

부산진역∼부산역, 대전조차장역, 경기도 안산 초지역∼중앙역 구간에 대한 4조3000억원 규모의 철도 지하화 사업이 추진된다.

정부는 19일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침체한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구간, 사업비 분담 논의가 완료된 3개 구간부터 철도 지하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상반기 중 지하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갈 계획이다.

부산진역∼부산역 구간은 경부선 선로 부지에 인공 지반을 조성해 축구장 52개 크기인 37만㎡를 개발한다. 사업비는 1조4000억원이고, 북항 재개발 사업과 연계한다.

대전조차장역 자하화는 조차장 이전으로 확보한 38만㎡를 개발해 도심 내 새로운 성장 거점을 조성한다. 사업비는 1조4000억원이다.

안산에선 초지역∼중앙역 구간을 지하화해 주변 시유지와 함께 역세권 컴팩트시티를 조성한다. 개발 면적은 71만㎡, 사업비는 1조5000억원이다.

정부는 수도권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구간은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지하화 추진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방침이다.

정부는 부산항 북항과 인천항 내항 등 노후화된 항만도 순차적으로 재개발하기로 했다. 부산항 북항에는 해양기관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항만부지와 주변 원도심을 통합 개발한다.

인천항 내항에는 문화·상업·업무 복합공간을 마련하고, 제물포를 원도심 성장거점으로 조성한다. 항만 부지 내에는 데이터센터·버티포트 등 신산업 기업의 입주를 허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