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게이츠, 거액 기부해도 재산은 늘어
지금까지 42조 기부하고도 올해 재산 19조원 증가 주식에 재산의 60% 투자…"부유세 도입 반대안해"
억만장자 빌 게이츠(64)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의 화수분은 주식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제전문 매체 블룸버그의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게이츠는 순자산이 1060억 달러(약 126조원)로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1130억 달러)에 이어 세계 2위에 랭크됐다.
빌 게이츠를 둘러싼 궁금증 가운데 하나는 그가 대규모 자선사업을 하고 있음에도 재산이 줄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의 기부액은 350억 달러(약 41조7천억원)를 돌파했는데 순자산은 올해 들어서도 160억 달러(약 19조원) 증가했다.
빌 게이츠는 이날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 "현금이 풍족한 곳에서 방어적 자세를 취하지 않는다"고 비결을 밝혔다. 그는 "투자할 때 사용하는 전략은 주식에 60% 이상을 넣어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날 17일 현재 빌 게이츠의 재산 가운데 60% 정도는 주식인 것으로 분석됐다. 컨설팅업체 캠던웰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북미 가계의 재산 가운데 주식의 비율은 평균 32%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빌 게이츠의 재산은 금융 전문가인 마이클 라슨이 빌 게이츠의 가족 업체인 '캐스케이드 인베스트먼트'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재산이 증식되기 때문에 빌 게이츠는 세계 최대의 가족 자선재단인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을 설립해 저개발국들을 대상으로 교육·보건·개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
빌 게이츠는 부자들에게 더 많은 비율의 세금을 물리는 부유세가 신설되더라도 개의치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부유세를 도입하지 않을 것으로 보지만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세제 중 부유세와 가장 유사한 것이 상속세라며 세율을 수십 년 전 수준인 55%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지론도 소개했다. 빌 게이츠의 신념대로 빌 앤드 멜린다 재단은 불평등 해소를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로 삼고 있다.
재단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지속가능 개발 목표'(SDGs)가 지속적 불평등 탓에 차질을 빚는다고 지적했다. SDGs는 유엔이 빈곤·질병·교육·기후변화·전쟁 등 인류 보편 난제를 2016년부터 2030년까지 해결하겠다며 세운 목표다.
재단은 "지리와 성별을 비롯한 무작위 요인이 중요해지지 않도록 할 특효약 같은 것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이들 하나하나가 양호한 보건과 교육 체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방향으로 가는 매우 훌륭한 출발점"이라고 관련 투자를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