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경계 교수들, 올 잠재성장률 1%대로 추정
응답 교수 67%가 내리막길에 들어섰다는 의미의 '피크 코리아' 시각에 동의
국내 상경계열 교수 10명 중 6명 가까이 우리나라 올해 잠재성장률을 1%대로 추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여론조사업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1월 22∼29일 국내 주요 대학 상경계열 교수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23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의 57.6%가 2025년 잠재성장률을 2% 미만으로 추정했다. 잠재성장률을 1.7∼1.9% 구간으로 추정한 응답자는 31.5%였다. 1.1∼1.3% 구간이 13.5%, 1.4∼1.6% 구간은 12.6%였다.
잠재성장률을 '2.0% 이상'으로 응답한 비율은 42.4%였다. 2.0∼2.2% 구간(32.5%), 2.3∼2.5% 구간(9.0%), 2.6∼2.8% 구간(0.9%) 순이었다. 응답 구간별 중간값의 산술 평균치는 1.8%였다.
한국의 경쟁력이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에 들어섰다는 의미의 '피크 코리아(Peak Korea)' 시각에도 응답자 66.7%가 동의했다. '어느 정도 동의'가 52.3%, '매우 동의'가 14.4%였다. 비동의 응답에서 '그다지 동의하지 않음'은 29.7%였고, '매우 동의하지 않음'은 1.8%에 불과했다.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중장기 요인으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절벽'(41.8%)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신성장동력 부재'(34.5%), '노동시장의 경직성과 낮은 노동생산성'(10.8%)의 순서였다.
인구 절벽의 경제적 영향에 대해선 '경제활동인구 감소'(37.9%), '연금 고갈 및 복지비용 증가'(19.8%), '내수 침체'(15.3%), '지방 소멸'(15.3%), '국가 재정부담 증가'(11.7%) 순서로 꼽았다.
기업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로는 '생산성 향상 노력'(40.6%), '연구개발 확대'(18.0%), '전통산업에서 신산업으로의 사업 재편'(17.1%), '해외시장 개척 및 공급망 다변화'(14.4%)를 꼽았다.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기업 설비투자 지원 및 연구개발 촉진'(34.3%),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규제 개선'(22.8%), '신산업 진출 관련 이해 갈등 해소'(13.8%), '노동시장 유연화'(12.6%) 등이 지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