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느라 여윳돈 줄어"
한국은행 분석… 지난해 2분기 41.2조에서 3분기에 37.7조로 감소
지난해 2분기에 이어 3분기까지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매입이 늘면서 가계 여윳돈이 예금을 중심으로 2분기보다 3조5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7일 공개한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 및 비영리단체의 지난해 3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37조7000억원으로 2분기(41조2000억원)보다 3조5000억원 적었다.
순자금 운용액은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것이다. 통상 가계는 순자금 운용액이 양(+·순운용)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순자금 운용액이 대체로 음(-·순조달)의 상태인 기업·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은은 가계 여윳돈(순자금 운용액)이 감소한 데 대해 "가계 소득은 늘었지만, 주택 취득이 늘어난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 통계에서 개인의 아파트 순취득 건수는 2분기 5만3000호에서 3분기 7만2000호로 증가했다.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의 3분기 자금 운용 규모(57조6000억원)는 2분기(55조7000억원)보다 1조9000억원 늘었다. 예금 등 금융기관 예치금은 한 분기 사이 21억8000만원에서 10조5000억원으로 11조3000억원 급감했다.
반대로 보험·연금 준비금은 5조8000억원에서 17조2000억원으로, 국내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운용 규모도 13조4000억원에서 15조4000억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가계의 3분기 자금 조달액은 총 19조9000억원으로 2분기(14조6000억원)보다 5조3000억원 늘었다. 주택매매 증가와 함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금융기관 차입(대출)이 14조5000억원에서 19조9000억원으로 5조4000억원 증가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