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탄소 에너지로 59조원 경제 파급 효과 달성"
정부,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안 공개
정부가 오는 2033년까지 원전, 재생에너지, 수소를 아우르는 무탄소 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통해 59조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청회를 열고 2024∼2033년 적용할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안을 공개했다.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에너지법에 따라 5년마다 발표하는 10년 단위 에너지기술개발 중장기 로드맵이다.
새 계획안은 '탄소중립·에너지 안정성 달성을 위한 무탄소 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최상위 목표인 중장기 비전으로 제시했다. 산업부는 2033년까지 소형모듈원자로(SMR·발전 용량 30만㎾급)를 포함한 원전,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수소 등에 걸쳐 무탄소 에너지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경제적 파급 효과가 59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기간 에너지 기술 자립화율은 기존 80.6%에서 90%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는 이날 공청회에서 나온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다음 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무탄소 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구체적 전략으로 우선 SMR 등 원전 활용 확대, 태양광 등 신재생 경쟁력 강화, 청정수소 및 청정 화력 발전의 경제성 강화와 국산화 등이 포함된 기술 경쟁력 강화가 제안됐다. 이와 관련해 2035년부터 국내에서 처음 가동될 첫 소형모듈원자로(SMR)의 건설 단가는 kWe(킬로와트)당 3500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차세대 탠덤 태양전지 효율을 2023년 26.1%에서 2033년 35%로, 해상풍력단지 이용률을 2023년 30%에서 50%로 높이는 방안도 포함됐다.
두 번째 전략인 '유연하고 안정적인 에너지망 구축' 항목에서는 만성적인 송전 제약 완화를 위한 대안 기술 개발, 에너지 저장 기술 개발 등의 방법이 담겼다. 이밖에도 산업·건물 부문 열에너지 활용 최적화 등의 내용을 담은 '에너지 사용의 고효율·청정화', 혁신형 연구개발(R&D) 확대 등을 포함한 'R&D 혁신 생태계 조성'도 전략으로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