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경제 심상치 않다"… KDI"2.0% 성장"

정규철 경제전망실장 "내수 회복 생각보다 더디다"…올 전망치도 2.2%로 낮춰

2024-11-12     이코노텔링 곽용석 기자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2%로 낮추고,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낮은 2.0%로 내다봤다.

KDI는 12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2%로 0.3%포인트(p) 낮췄다. 지난 5월과 8월 각각 0.1%p씩 낮춘 데 이어 세 번째 하향 조정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내수 회복이 생각보다 더 지연되고 있다"며 "0.3%p 하향 조정은 전적으로 내수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도 2.1%에서 2.0%로 0.1%p 낮췄다. 전날 한국금융구원이 하향 조정한 2.0%와 같은 전망치다.

KDI는 "내년에는 내수가 일부 회복되겠지만, 수출 증가세가 완만해지면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 경기침체의 주된 요인으로는 수출 부진을 꼽았다. 총수출 증가율(물량 기준)이 올해 7.0%에서 내년 2.1%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미국 트럼프 새 정권의 무역보호주의 정책은 반영하지 않은 것이다. 트럼프 정부가 미국 우선주의에 입각해 보편적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보호무역 정책을 집행할 경우 우리나라 수출은 더 큰 타격을 받고 내년 성장률이 2%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KDI는 경기 침체에 따라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올해 18만명에서 내년 14만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소비자물가는 1.6%로 내다봤다.

정규철 실장은 "금리인하가 저희 생각보다는 조금 늦어졌고, 그 부정적 영향이 생각보다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며 "통화정책은 물가에 집중하고, 금융안정은 거시건전성 정책으로도 갈 수 있다"며 한국은행의 금리인하를 압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