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 아기 비중 5.3%

지난해 다문화 혼인 2만431건

2024-11-07     이코노텔링 김승희 기자

지난해 결혼한 부부 10쌍 중 1쌍은 '다문화 혼인'이었고,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아기의 비중이 5.3%로 상승했다. 다문화 혼인의 아내가 외국인, 국적으로는 베트남 여성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23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2만431건으로 1년 전보다 17.2%(3003건) 늘었다.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6%로 1.5%포인트(p) 상승했다.

다문화 혼인 비중은 2019년 10.3%로 10%를 처음 넘겼다. 이후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2021년 7.2%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반등했다.

다문화 혼인 유형은 아내가 외국인인 경우가 69.8%였다. 그 다음으로 외국인 남편(17.9%), 귀화자(12.3%) 순서였다.

연령별로는 남편이 45세 이상인 경우가 33.2%로 가장 많았고 아내는 30대 초반이 23.6%로 최다였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37.2세로 1년 전보다 0.6세 올라갔다. 아내의 초혼 연령은 29.5세로 0.4세 낮아졌다.

다문화 부부의 76.1%는 남편이 연상이었다. 남편의 나이가 10세 이상 많은 경우가 38.1%로 2022년보다 3.1%p 늘었다.

국적 별로 여성은 베트남이 27.9%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중국(17.4%), 태국(9.9%) 순서였다. 남성의 국적은 중국(6.9%), 미국(6.9%), 베트남(3.9%) 순서였다.

지난해 다문화 이혼은 8158건으로 2022년보다 3.9%(305건) 늘며 2011년 이후 13년 만에 증가했다. 이혼 부부의 평균 결혼 기간은 10.1년이고, 미성년 자녀를 둔 경우가 39.7%였다.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는 1만2150명으로 2022년보다 3.0%(376명) 감소했다.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보다 0.3%p 상승한 5.3%였다. 전체 출생이 7.7%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다문화 출생이 상대적으로 덜 줄었다.

다문화 출생아 중 남아는 6371명, 여아는 5779명이었다. 성비(여아 100명당 남아)는 110.2명이었다. 한국인 부부의 출생아 성비(104.8)보다 높았다.

다문화 출생에서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은 32.6세로 전년보다 0.2세 증가했다. 출산까지 결혼생활 기간은 평균 4.1년으로 전년과 유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