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임금근로자 1천만명 첫 돌파
올 1~8월 1015만2000명으로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0만명을 웃돌아
올해 급여·일당 등을 받고 일하는 여성 임금근로자가 사상 처음 1000만명을 넘어섰다. 여성이 전체 임금근로자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역대 최고이지만, 남녀간 임금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8월 월평균 여성 임금근로자는 1015만2000명으로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0만명을 웃돌았다.
올해 여성 임금근로자를 1963년(57만4000명)과 비교하면 17.7배다. 올해 전체 임금근로자(2202만7000명)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46.1%로 역대 최고다.
여성 임금근로자는 상용근로자가 696만2000명, 68.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시근로자가 290만7000명으로 28.6%, 일용근로자는 28만3000명으로 2.8%였다.
남성 임금근로자는 1963년 181만명에서 올해 1187만5000명으로 6.6배로 늘었다. 여성 증가 폭이 남성의 2.7배 수준이다. 그만큼 여성의 경제 활동이 활발했다는 방증이다.
올해 여성 임금근로자를 포함해 전체 여성 취업자는 1262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여성 취업자의 비중은 전체 취업자의 44.2%로 역대 가장 높았다.
올해 여성 자영업자 비중도 역대 최고였다. 올해 여성 자영업자는 172만명으로 전체 자영업자의 30.5%를 차지했다. 여성 자영업자 비중은 지난해 30.1%로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여성 자영업자 수는 2006년 181만70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코로나19 사태 기간인 2021년 156만4000명까지 줄었다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올해 여성 자영업자와 함께 무급 가족종사자를 합한 비임금근로자는 247만1000명으로 전체 비임금근로자의 37.9%를 차지했다.
무급 가족종사자는 임금을 받지 않고 자영업자 사업체에서 일하는 가족·친척으로 계속 줄고 있다. 무급 가족종사자가 줄면서 임금근로자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졌지만 남녀 간 임금격차는 여전히 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31.2% 수준으로 관련 수치가 있는 36개 회원국 중 1위다.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OECD 회원국 평균(11.4%)의 2.7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