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넉 달째 '흑자기조'
8월 경상수지 66억달러…규모는 7월보다 24억달러 감소
반도체·휴대전화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경상수지가 넉 달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8월 경상수지는 66억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적자(-2억9000만달러)를 냈다가 5월(89억2000만달러) 반등한 뒤 6월(125억6000만달러), 7월(89억7000만달러)에 이어 4개월 연속 흑자다. 하지만 흑자 규모는 6월의 절반 수준이고, 7월보다 약 24억달러 줄었다.
1∼8월 누적 경상수지는 536억달러 흑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106억7000만달러)보다 429억3000만달러 많다.
8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65억9000만달러)가 지난해 4월 이후 17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수출(574억5000만달러)이 1년 전보다 7.1% 늘었다. 정보통신기기(44.0%)·반도체(38.3%)·석유제품(0.6%) 수출이 증가한 반면 화학공업제품(-4.4%)·승용차(-3.6%) 등은 뒷걸음쳤다.
수입(508억6000만달러)은 4.9% 증가했다. 원유(30.1%)·석유제품(13.4%)·천연가스(5.6%) 등 원자재 수입이 6.1%, 수송장비(46.0%)·반도체(18.7%)·반도체 제조장비(14.7%) 등 자본재 수입이 7.8% 각각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12억300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여행수지 적자가 14억2000만달러에 이르렀다. 여름철 해외여행 성수기 영향으로 적자 폭이 7월(-12억6000만달러)보다 커졌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7월 31억5000만달러에서 8월 16억9000만달러로 줄었다. 외국인 증권투자에 대한 분기 배당 지급 등으로 배당소득수지 흑자가 같은 기간 27억9000만달러에서 11억8000만달러로 감소한 영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