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치금 등 가계 여유자금 36조원 줄어
주택매입 등으로 금융기관 대출은 14.5조 급증
지난 2분기 주택 매입이 늘면서 가계 여윳돈이 예금을 중심으로 1분기보다 약 36조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7일 내놓은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 및 비영리단체의 올해 2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41조2000억원으로 직전 1분기(77조6000억원)보다 36조4000억원 적었다. 한은은 "아파트 분양 물량 확대, 주택 순취득 증가 등 때문이 가계 여윳돈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것이다. 통상 가계는 순자금 운용액이 플러스(순운용)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순자금 운용액이 대체로 마이너스(순조달)인 기업·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의 2분기 자금 운용 규모(55조7000억원)도 1분기(79조원)보다 23조3000억원 적었다.
자금 운용을 부문별로 보면 예금 등 금융기관 예치금이 석 달 사이 58조6000억원에서 21조8000억원으로 36조8000억원 급감했다. 이와 달리 국내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운용 규모는 2조9000억원에서 13조4000억원으로 늘었다.
가계의 2분기 자금 조달액은 모두 14조6000억원으로 1분기(1조4000억원)보다 13조2000억원 늘었다. 주택매매 증가와 함께 금융기관 차입(대출)이 -2조9000억원(대출 상환 우위)에서 14조5000억원으로 불어난 데 영향을 받았다. 한은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의 금융기관 차입 규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2분기 순자금 조달 규모는 23조7000억원으로 3개월 새 22조원 가까이 늘었다. 기업 순이익은 축소됐지만 고정자산 투자가 늘어 금융기관 대출을 중심으로 기업의 자금 조달이 증가했다고 한은이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