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 있는 여성 소득 낮아

2022년 배우자·자녀있는 25∼39세 비중 33.7%…유배우자 비중은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낮아

2024-09-10     이코노텔링 장재열 기자

배우자나 자녀가 있는 여성의 취업 비중이 배우자나 자녀가 없는 여성보다 작고 소득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0일 내놓은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25∼39세 청년 중 배우자가 있는 비중은 33.7%로 2021년보다 2.4%포인트(p) 하락했다. 성별로 보면 여자가 40.4%로 남자(27.5%)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 7.9%, 30대 초반 34.2%, 30대 후반 60.3%였다.

유배우자 비중은 수도권(31.7%)이 비수도권(36.1%)보다 낮았다. 시도별로는 세종이 51.4%로 가장 높고, 서울이 25.0%로 가장 낮았다.

유배우자의 등록 취업자 비중은 73.9%로 무배우자(72.8%)보다 1.1%포인트 높았다.

성별로 보면 남자의 등록 취업자 비중은 유배우자(91.1%)가 무배우자(73.5%)보다 높은 반면 여자는 유배우자(61.1%)가 무배우자(71.8%)보다 낮았다. 여성이 혼인한 뒤 자녀 출산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절되는 현상을 엿볼 수 있다.

25∼39세 상시 임금근로자 청년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배우자가 4056만원으로 무배우자(3220만원)보다 많았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유배우자(5099만원)가 무배우자(3429만원)보다 높은데 여자는 무배우자(3013만원)가 유배우자(2811만원)보다 높았다.

주택 소유 비중도 남녀 모두 유배우자가 31.7%로 무배우자(10.2%)보다 높았다. 주택소유자의 주택자산 가액은 무배우자가 1억5000만원 이하 구간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2022년 유배우자 청년 중 자녀가 있는 비중은 74.7%로 2021년보다 0.9%p 하락했다.

자녀 수별로 보면 '자녀 없음'이 25.3%, '자녀 1명' 38.0%, '자녀 2명' 31.6%, '자녀 3명 이상'이 5.1%였다.

유배우자 청년의 등록 취업자 비중은 모든 연령대에서 자녀가 있는 경우(72.1%)가 무자녀(79.1%)보다 낮았다. 유자녀 여성의 취업자 비중(58.5%)이 무자녀(69.7%)보다 더 낮은 영향인 것으로 보이다. 남성은 유자녀의 취업자 비중(91.7%)이 무자녀(89.4%)보다 높았다.

유배우자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자녀가 4098만원으로 무자녀(3982만원)보다 높았다. 다만 남자는 유자녀(5293만원)가 무자녀(4678만원)보다 높은 반면 여자는 유자녀(2580만원)가 무자녀(3255만원)보다 낮은 차이를 보였다.

주택 소유 비중은 남녀 모두 유자녀(34.4%)가 무자녀(23.8%)보다 높았다. 주택소유자의 주택 자산가액도 3억원 초과 비중이 유자녀 청년에게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