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좀 있어도 해외인프라 수주 적극 지원"
6조2천억원 풀고 면책 확대 등 기업의 개도국 사업참여 유도
2019-02-14 고윤희 이코노텔링 기자
정부가 기업의 해외 건설공사 수주를 지원하기위해 6조2천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풀기로 했다. 현지 사업의 타당성 조사절차를 간소화하고 일부 위험성이 큰 일부 개도국의 사업도 적극적으로 뛰어 들수 있도록 하겠다는 뜻이다.
정부는 14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해외수주 활력 제고 방안'을 확정했다.
우리나라의 건설·플랜트 등 해외수주액은 2016년 282억 달러까지 떨어졌다가 지난해 300억 달러대를 회복했지만, 아직 2013∼2014년 650억 달러 수준의 절반에 못 미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총리와 부총리 등 전 내각으로 구성된 '팀 코리아'를 발족, 매년 초 해외수주전략을 수립해 우리 기업과 공공기관의 해외수주를 입체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먼저 우리 기업이 해외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6조2천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금융 패키지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수출입은행은 우리 기업의 이라크 등 초고위험국(신용등급 B+ 이하) 인프라 사업 수주를 위해 올해 상반기 1조원 규모의 특별계정을 신설할 계획이다.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는 터키나 우즈베키스탄 등 고 위험국(신용등급 BB+ 이하)의 인프라 사업 수주 지원을 위해 정책자금을 2조원 확대한다.
정부는 또 3조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펀드를 신설해 중위험 국가 인프라 사업 수주를 돕기로 했다. 올해 상반기안에 1조5천억원을 조성해 자금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