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도 최대 상승
아파트 거래량 급증하면서 6월 지수 1.80% 올라
서울 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실거래가격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공동주택 실거래가격지수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5월 대비 1.80% 올라 올해 1월 이후 6개월 연속 상승했다.
실거래가지수는 해당 월에 거래된 주택 가격과 직전 거래(동일 단지, 동일 주택형)의 실거래가를 비교하는 것으로 매월 조사표본이 달라진다. 그래도 단순 증감률로 보면 지난해 2월(1.98%)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3구와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2.36% 올라 오름폭이 가장 컸다. 양천·영등포·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이 1.85%로 그 뒤를 이었다. 마포·서대문·은평구 등이 있는 서북권이 1.69%, 성동·노원·도봉·강북구 등 동북권이 1.35% 오르는 등 서울 전역에서 강세였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 상승세가 이어진 것은 최근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직전 가격보다 높은 금액에 팔리는 상승 거래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총 7479건으로 2020년 12월(7745건)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7월 거래량은 17일까지 7938건이 신고됐다. 신고 기한이 8월말까지인데도 이미 6월 거래량을 넘어섰다. 이런 추세라면 7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020년 7월(1만1170건) 이후 4년 만에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경기도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도 0.97% 올라 6개월 연속, 인천은 0.92% 올라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1.26% 뛰며 지난해 3월(1.57%) 이후 1년 3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