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취업자 8.1만명 줄어
2013년이후 최대 감소…취업 10만명 증가했지만 고령층 가장 많아
7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석 달 만에 10만명대로 회복된 가운데 건설업 취업자는 11년 만에 최대로 감소하고 제조업 취업자도 감소세로 돌아서는 등 실물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세 이상 취업자는 2885만7000명으로 지난해 7월 대비 17만2000명 증가했다. 월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4월 26만1000명에서 5월 8만명으로 꺾인 뒤 6월(9만6000명)까지 두 달 연속 10만명을 밑돌다가 석 달 만에 10만명대로 회복됐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에서 27만8000명 늘어 취업자 증가를 주도했다. 30대에서 11만명, 50대에서 2만3000명 늘었다. 반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4만9000명, 40대는 9만1000명 감소했다. 20대 취업자는 21개월, 40대 취업자는 25개월 연속 감소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 부진이 석 달째 이어졌다. 건설업 취업자는 지난해 7월보다 8만1000명 줄었다. 이는 2013년 7차 산업분류 변경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서울 등 수도권에선 아파트 값이 오르지만 지방에선 미분양이 쌓이는 등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며 일용직, 임시직이 다수인 건설 노동자들에게 피해가 집중되는 모습이다.
7개월간 증가하던 제조업 취업자도 7월에는 1만1000명 줄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석유화학, 철강 등 중국의 중복 과잉투자 영향을 받는 업종과 오프라인 대형 매장 등의 감원 여파로 분석된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1만7000명), 정보통신업(8만2000명), 운수·창고업(6만5000명) 등에서는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