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한국 유학+연수' 사상최대
올 상반기에 20만명 첫 돌파…정부와 지자체는 외국인 유학생 국내 취업 적극 나서
상반기 유학이나 연수를 위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이 사상 처음 20만명을 넘어섰다. 세계적으로 K-팝 등 한류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어를 배우거나 한국에서 공부하기를 원하는 외국인이 늘었기 때문이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유학·연수 목적으로 방한한 외국인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50.6% 많은 20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반기 기준으로 외국인 유학·연수생이 20만명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이를 출신국별로 보면 중국이 11만2000명으로 전체의 55.2%를 차지했다. 이어 베트남 3만3000명, 일본 6900명, 몽골 6700명, 우즈베키스탄 5000명의 순서였다. 프랑스(3500명)와 미국(3100명)에서도 3000명 넘게 한국을 찾았다. 이밖에 대만(2600명), 미얀마(2300명), 독일(2000명), 인도네시아(1900명), 러시아(1500명), 홍콩(1200명) 등도 1000명이 넘었다.
외국인 유학·연수생은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하반기 19만1000명까지 늘었다가 코로나19가 급속 확산한 2020년 상반기 8만8000명으로 급감한 데 이어 하반기에는 3만명으로 줄었다. 코로나19가 진정되며 회복된 외국인 유학·연수생은 2022년 상반기 5만5000명에서 하반기 9만7000명으로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 상반기 13만6000명, 하반기 17만8000명으로 증가했다.
외국인 유학·연수생이 늘어난 것은 한류 영향이 크다. K-팝, K-영화, K-드라마, K-뷰티, K-푸드 등 K-콘텐츠가 인기를 끌며 젊은 외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취업하기 위해 한국어·한국문화를 배우거나 유학을 오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방대학과 지방자치단체들이 국내 학생 수가 감소하자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적극적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와 지역소명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어 구사 능력이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취업을 유도하는 정책도 펼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