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출, 사상 최대 6900억달러"
무역협회 9.1% 증가 전망…"반도체 약진에 전기차 부진 불구 자동차도 수출 늘어"
우리나라의 올해 연간 수출액이 반도체와 자동차 등 주력 품목의 호조에 힘입어 6900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4일 내놓은 '2024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수출이 2023년 대비 9.1% 증가한 6900억달러로 전망했다.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말 무역협회가 제시한 7.5%보다 1.6%포인트 높다. 정부가 제시한 연간 수출 목표 7000억달러에 근접한 수준이다.
수입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6490억달러로, 수출입차인 무역수지는 410억달러 흑자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무역협회 보고서는 올해 수출 증가의 핵심 동력으로 반도체를 포함한 정보기술(IT) 기기와 자동차, 선박 등 주력 품목의 선전을 꼽았다. 반도체 수출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산업 급성장, 최대 소비처인 중국의 IT 제품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31.8%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컴퓨터(53.0%), 디스플레이(10.3%), 무선통신기기(8.0%) 등의 수출도 글로벌 IT 경기의 빠른 회복세로 호조세일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수출을 지탱한 자동차는 전기차 수요 정체 등의 우려에도 하이브리드차(HEV)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유지해 3.7%의 수출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무역협회는 내다봤다.
선박(14.3%)도 하반기 중 유럽, 아시아 등으로 액화천연가스(LNG)선과 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인도가 예정돼 우호적인 수출 여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무역협회는 13대 주력 품목 수출이 대부분 증가하겠지만 철강은 상반기 수출단가 하락과 수요 부진 등 불안한 수급 상황 등의 여파로 소폭 감소(-0.8%)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