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크게 오르자 소비증가세 꺾여
2021년 이후 소비자물가12.8% 급등해 소비증가율 5%p 낮아져
소비자물가가 2021년 이후 13% 가까이 뛰자 소비 증가율이 5%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고령·청년층과 저소득층의 소비가 큰 영향을 받았다.
한국은행이 27일 내놓은 '고물가와 소비:가계 소비 바스켓·금융자산에 따른 이질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4월까지 소비자물가 누적·연 환산 상승률은 각 12.8%, 3.8%로, 2010년대(연 환산 1.4%)의 두 배를 웃돌았다. 그 영향으로 민간 소비는 2015∼2019년 추세를 크게 밑돌았다.
세계적인 공급 차질과 이상기후 등 공급 요인의 영향이 큰 재화의 '물가 상승·소비 부진' 현상이 뚜렷했다. 물가가 오르면 소비가 줄어드는 것은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줄어들고 금융자산의 실질 가치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은 분석 결과 2020∼2023년 고령층과 저소득층이 체감하는 실효 물가상승률이 각 16%, 15.5%로 청·장년층(14.3%)과 고소득층(14.2%)보다 높았다. 물가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식료품 등 필수재의 소비 비중이 두 그룹에서 컸기 때문이다. 고령층은 대체로 부채보다 금융자산을 많이 보유한 계층이라서 물가 상승에 따른 자산 가치 하락 경로로도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물가가 오르면 부채의 실질 가치도 줄지만, 생애 주기상 부채가 많은 청년층에 도움이 된 것도 아니었다. 젊은 세대 가운데 전세 거주자가 많은데, 이들의 전세보증금 실질 가치도 하락한 탓이다.
종합적으로 2021년부터 가파르게 오른 물가가 얼마나 소비를 위축시켰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2021∼2022년 실질 구매력 축소가 약 4%포인트, 금융자산 실질 가치 훼손이 약 1%p포인트 소비증가율을 낮췄다. 이 기간 누적 기준 소비 증가율(9.4%)을 고려할 때 물가가 급등하지 않았다면 소비가 14% 이상(9.4%+5%포인트) 증가할 수도 있었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