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실질소득 7년 만에 최대 감소
1분기 가구당 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증가 물가 상승세 반영한 가계 실질 소득은 1년 전보다 1.6%나 줄어 들어
고물가 여파로 1분기 가구 실질소득이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명목소득이 늘었지만 물가가 더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증가했다. 가계소득은 3개 분기 연속 증가했지만, 증가 폭은 지난해 4분기(3.9%)보다 둔화했다.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329만1000원)이 1.1% 줄어든 영향이 컸다. 가계 근로소득은 지난해 대기업 실적 부진에 따른 상여금 감소로 2021년 1분기(-1.3%)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이와 달리 사업소득(87만5000원)은 임대소득 증가, 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농업소득 증대 등 영향으로 8.9% 늘었다. 이전소득(81만8000원)도 국민·기초연금 수급액 인상, 부모급여 확대 등으로 5.8% 증가했다.
명목소득이 증가했지만 물가 상승세를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년 전보다 1.6% 감소했다. 1분기 기준 가계 실질소득은 2021년(-1.0%)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2017년 1분기(-2.5%)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특히 실질 근로소득은 3.9% 줄며 감소세를 주도했다.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0% 늘었다. 비소비지출은 이자 비용 증가 등 영향으로 1.2% 늘어난 107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1.4% 늘어난 404만6천원이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3만8000원으로 2.6% 줄며 3개 분기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을 뜻하는 흑자율은 28.1%로 2022년 3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이 이어졌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적자가구 비율은 26.8%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와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115만7000원, 1125만8000원이었다. 1분위 가구 소득은 근로·이전소득 중심으로 1년 전보다 7.6% 늘어난 반면 5분위 가구는 근로소득이 줄며 2.0% 감소했다. 통계청은 " 삼성전자·LG 등 대기업의 상여금 감소가 5분위 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1분위 가구 소득이 늘어난 가운데 5분위 가구는 줄면서 소득 불평등 지표는 소폭 개선됐다. 상위 20% 소득을 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1분기 5.98배로 지난해 1분기(6.45배)보다 0.47포인트 하락했다. 상위 20% 소득이 하위 20%의 5.98배라는 의미다.